-
목차
5월 가정의 달, 놓치면 아쉬운 정부 혜택!
미리 챙겨야 할 2025년 복지 정책 + 신청 방법 총정리
1. 긴급돌봄 지원 – 갑자기 아이 맡길 곳이 없다면?
▶ 정책 개요
- 만 12세 이하 아동 대상으로, 보호자가 긴급한 사유로 돌봄이 어려울 때
전문 돌보미가 집으로 방문 - 질병, 야근, 간병, 교육 참여 등 사유 인정
▶ 신청 방법
- 복지로 누리집(www.bokjiro.go.kr) → '아이돌봄 긴급지원' 신청
- 또는 보건복지상담센터 129번 전화
- 주민센터 방문 접수 가능
📌 이용 전 사전 등록 필수 / 긴급 사유 증빙서류 제출 필요
2. 조부모 돌봄수당 – 손주 돌보는 부모님께도 혜택
▶ 정책 개요
- 조부모가 손주를 정기적으로 돌보는 경우,
지역별 바우처 또는 교육 이수 후 돌봄 활동비 지원
▶ 신청 방법
- 거주지 관할 주민센터 방문
- ‘가족 돌봄 서비스’ 또는 ‘지자체형 아이돌보미’ 사업 확인
- 일부 지역은 복지로 → 아이돌봄서비스 → 조부모 지원 항목에서 온라인 신청 가능
3. 청년·신혼부부 주거지원 – 전월세 대출 혜택
▶ 정책 개요
- 2025년 확대된 주거금융 혜택
- 청년 전세자금 대출 시 최대 2억 원 한도, 1.2~1.8% 금리
- 월세 가구에는 최대 20만 원 현금 지원
▶ 신청 방법
- 마이홈 포털(www.myhome.go.kr) 또는
LH청약센터(lh.or.kr) - 온라인 신청 후, 서류는 지역 공공주택센터나 은행 방문 제출
4. 아동수당 & 양육수당 – 기본이지만 놓치기 쉬운 제도
▶ 정책 개요
- 아동수당: 만 0~7세에게 월 10만 원 지급
- 양육수당: 어린이집 미이용 가정에 월 10~20만 원 지급
- 거주지 전입 시 자동 변경되지 않으므로 꼭 재신청 필요
▶ 신청 방법
- 정부24(www.gov.kr) 또는 복지로 사이트에서 온라인 신청 가능
- 또는 주민센터 방문 접수 (신분증, 가족관계증명서 필요)
- 출생신고 시 함께 신청하는 게 가장 간편
5. 노인돌봄 서비스 – 부모님을 위한 맞춤 돌봄
▶ 정책 개요
- 65세 이상 어르신을 대상으로,
가사 지원·말벗·병원 동행·정서상담 제공 - 소득과 건강 상태에 따라 이용 범위 결정
▶ 신청 방법
- 읍면동 주민센터 방문 접수
-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신청서 + 건강상태 관련 확인서 제출
- 복지로 누리집에서 사전 자격 조회 가능
📌 기초생활수급자, 독거노인은 무료로 제공
6. 한부모·다문화·조손가정 대상 특별 지원
▶ 정책 개요
- 취약가정 자녀를 위한 방과후 돌봄, 학용품 지원, 교육비 보조
- 일부 지자체는 체험학습비, 급식비 추가 지원
▶ 신청 방법
- 거주지 관할 주민센터
- 또는 드림스타트 센터, 초등학교 행정실
- 온라인: 복지로 > ‘가족복지’ → ‘한부모가정 지원’ 확인
제도는 많지만, 신청해야 혜택이 옵니다
아무리 좋은 정책도
신청하지 않으면 내 혜택이 되지 않습니다.가정의 달을 앞두고,
부모님, 자녀, 조부모, 나 자신까지
꼼꼼히 챙길 수 있는 이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.지금 당장 복지로 또는 정부24에서
우리 가족에게 해당되는 정책이 무엇인지 확인해보세요.
한 번의 신청으로 매달 안정적인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.'정부정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노후 지원금, 그냥 지나치셨나요? 2025년 시니어 일자리 혜택 완전정리 (0) 2025.04.22 몰라서 못 받은 암 치료비 지원금, 지금 확인하세요 (0) 2025.04.08 28조 쏟아붓는 청년 정책, 나에게 해당되는 건? (0) 2025.04.04 2025 근로장려금 신청 방법과 조건 총정리! 최대 330만원 혜택 받는 법 (0) 2025.03.27 전기차 구매 전 필독! 2025 전기차 보조금 기준과 신청 방법 (0) 2025.03.26 - 만 12세 이하 아동 대상으로, 보호자가 긴급한 사유로 돌봄이 어려울 때